JAVA 설치부터 Tomcat 설치까지!!

Posted by Who1sth1s
2016. 11. 10. 00:42 Languege/Java

맥에서 자바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러긴 위해선 자바를 설치해야겠죠??


일단 개발환경은


IDE : Mac OS X 10.11.6 El Capitan

Shell : zsh


자 그럼 설치를 시작해보겠습니다. 



일단 저는 자바가 이미 설치되어있습니다. 허나 1.6 버전으로 설치 되어있네요.

오늘은 JDK 1.8 버전으로 설치할 예정입니다. 


오라클 사이트에 들어가서 JDK 파일을 다운받으면 쉽게 설치가 되지만 오늘은 오로지 터미널만 이용해서 다운을 받아보겠습니다.


맥도 기존 유닉스 기반 운영체제이지만 우분투나 센트OS와 다른 점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예를 다른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패키지 다운로드를 하려면 apt-get이나 wget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허나 맥에는 brew라는 패키지 관리자가 있습니다. 

brew 의 설치법은 조만간 다른 카테고리에 정리해서 업로드 시키겠습니다.


brew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brew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 줘야합니다. 



이런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그런 다음 



이 명령어를 입력 해 줍니다.


이 명령어가 하는 역할은 바이너리 형태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게 Homebrew의 영역을 넓혀주는 Homebrew cask 를 설치해 주는 것이라고 합니다.

공식홈페이지에서 번역하고 싶었지만 결국 한국블로그에서....



cask 설치가 완료된 후 brew install Caskroom/cask/java 명령어를 실행하면 중간에 비밀번호 입력하라고 나오고 설치가 완료되게 됩니다.




그런 다음 java 버전을 확인해보면 1.8버전으로 바뀌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자 자바는 설치가 완료되었고 그럼 바로 Tomcat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할 Tomcat 버전은 7입니다.



일단 brew 에서 지원해주고 있는 tomcat 패키지를 확인해보았습니다. 우측 하단에 tomcat7이 보이네요.



그런 다음 설치를 진행하면 다운로드가 되게 됩니다.



brew list 로  Tomcat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brew만 능수능란하게 다룰줄 알면 매우 간단한 작업이었습니다. 

저는 오히려 오라클 홈페이지 들어가서 파일 다운받고 환경변수 설정하는게 더 복잡하더라구요.

이렇게 brew로 패키지 관리하는게 더 편하다고 느낍니다. 아 물론 잘못돼서 brew 재설치를 여러번 하긴 했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jdk 1.8, tomcat 7 설치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Langue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STS 설치하기  (0) 2016.12.04
Tomcat server.xml, log 보는 법법  (0) 2016.12.04
Linux 환경에서 JDK 1.8, tomcat 7 설치하기!!  (0) 2016.11.23